Surprise Me!

[경제읽기] 대출규제·금리인상 영향?…서울 아파트 매수보단 매각

2021-11-26 0 Dailymotion

[경제읽기] 대출규제·금리인상 영향?…서울 아파트 매수보단 매각<br /><br /><br />최근 서울 아파트를 팔겠다는 사람이 사겠다는 사람보다 많아졌습니다.<br /><br />강도 높은 대출규제와 금리 인상, 종부세 과세의 여파가 배경으로 꼽히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집값 조정국면이 시작됐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부동산 시장 상황,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며 주요 시중은행들이 예·적금 금리를 신속히 올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은행들은 기준금리 인상분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예·적금 금리를 올렸는데요.<br /><br />어떤 배경 때문인지 박연미 경제평론가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서울에서 아파트를 팔겠다는 사람의 비중이 지난주보다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수요와 공급 비중을 알 수 있는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을 밑돌며 주택을 팔려는 사람이 사려는 사람보다 많았던 건데요. 정부의 말처럼 집값 조정 국면이 시작된 걸까요? 가장 영향을 미친 변수는 뭐라고 보세요?<br /><br /> 서울과 경기도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가 둔화되는 모습입니다. 정부에서는 전세 시장이 안정화 추세를 찾고 있다 평가하고 있는데 어떻게 진단하시나요? 아울러 내년 전세 시장 전망은 어떠한가요?<br /><br />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은행들이 잇달아 예·적금 금리 인상에 나서고 있습니다. 은행마다 금리를 0.20~0.40%p 올리거나 곧 올린다는 계획을 밝혔죠?<br /><br />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도 본격적인 우상향 추세로 진입할 전망입니다. 연내 주담대 최고금리가 6%대를 넘어설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는데요. 실수요자들의 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 같아요? 코로나19 여파로 대출을 받은 소상공인들의 타격도 크지 않을까요?<br /><br />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"금리가 1%가 됐지만 여전히 완화적이고, 긴축이 아니라 정상화 과정"이라며 내년 추가 금리 인상 신호도 보냈는데요. 내년 물가와 금리는 어떻게 전망하세요? 기준금리가 더 오르면 주담대 금리가 두 자릿수까지 높아질 수 있다는 가능성도 언급되던데요?<br /><br /> 국제유가 안정을 위해 미국 등 6개국이 비축유를 방출하겠다고 하자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들이 석유 증산 계획을 재검토하겠다고 반발하고 있습니다. 산유국들의 반응 어떻게 보셨나요?<br /><br /> 정유업계에선 이번 비축유 방출 결정이 단기적으로 유가 하락 효과를 야기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론 국제 유가 상승세를 막을 수 없을 거라며 긴장하고 있습니다. 한편 비축유 방출에 동참 의사를 밝힌 중국이 실제로 비축유를 풀어낼지 여부도 알기 어렵다고 하는데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? 향후 국제유가는 어떻게 전망하세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